그는 왜 구체적인 증거를 만들고 있는가

신승오(페리지갤러리 디렉터)


이진영은 이모지를 소재로 하여 콘크리트로 조형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이 두 요소를 기반으로 파생되어 나가고 있기에 가장 최근의 개인전인 《콘크리트 프루프》에서 선보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가 무엇에 관심을 가지고 어떤 이야기 하려고 하는지 따라가 보도록 하겠다. 먼저 그가 다루고 있는 그림과 텍스트가 결합한 이미지인 이모지를 살펴보자. 그는 작품에서는 어떤 감정과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이모지의 방식을 그대로 차용하거나 그 의미를 비틀어 버리는 경향을 보여준다. <Untitled>, <Doomer>에서처럼 그가 주로 쓰는 하트모양의 이모지는 마치 모양이 아니라 불타오르거나, 리본에 묶여 있거나 화살이 박혀 있거나, 반짝반짝 빛나거나, 반으로 쪼개져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감정을 읽을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모지는 어떤 용도를 상정해 놓은 상태에서 만들어진 또 다른 그림 언어이다. 언어의 의미 작용은 기표와 기의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우리는 눈으로 기호를 읽고 그것의 의미를 떠올리는 기계적인 작용을 통해 어떤 의미를 이해하고 비로소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기에 다른 언어와 문자와 같이 다른 체계의 것이 혼용되면 우리는 정상적인 의미 전달을 하거나 수용하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이모지는 문자보다는 직관적인 이미지로 더 편리하게 우리가 가진 공통의 의미나 감정을 포함하기에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이모지는 공통의 상식과 경험에 기반한 기호이다. 하지만 정말로 우리는 이것을 통해 우리의 감정을 온전히 송신하고 수신받는가? 그림은 직관적으로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는 하지만 그것을 송신하는 사람의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많은 것들이 정제되어 그림 뒤에 숨겨져 있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통해 다각적인 분석과 해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류는 이렇게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개별 주체들의 생각과 감정들이 쌓여 나가면서 문화와 예술과 같은 복잡한 인간 사회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이모지는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제작하여 배포된 기호이며, 우리가 아무런 자각 없이 쉽고 가볍고 빠르게 반복적으로 소비하여 사라지는 도구이다. 작가는 이러한 편리성을 가진 실체 없는 이모지에 익숙해질수록 이는 또 다른 장벽과 한계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사회적 인간적 문제를 경험하고 무관심, 염세주의, 자기혐오, 우울증 등에 빠져들어 외톨이가 된 세대를 의미하는 <Doomer>에 잘 나타난다. 이들은 동일한 이모지를 가지고 있지만 개별성을 지닌 다양한 표면을 가진 묘지의 비석처럼 서 있다. 작가는 이를 통해 자신이 느끼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가진 획일화되고, 경직되어 가는 감각들이 자아내는 불안과 허무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관객들에게 이렇게 같으면서도 다른 대상을 보면서 과연 이를 자신들만의 시선으로 새롭게 펼쳐서 읽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또한 작가는 그 이모지들이 가진 언어적 표면이 가진 의미를 고스란히 사용하여 자기 생각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폭식>에서는 아이폰에 올라와 있는 음식들의 이모지를 조합하여 넘치는 시각 정보들을 소비하게 만드는 디지털 세상에서 수동적인 수신자의 역할로 고정되어 버린 상황에 관해 이야기한다. <FOMO>는 100점 이모지를 활용해서 마치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다룰 수 있다고 이야기하며 수평적인 세상을 열어줄 거라는 믿음과는 다르게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수직적 사고를 할 수밖에 없는 이상적 세상에 대한 허상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그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자신이 의도하는 이야기를 새로운 기표로 만드는 작업을 최근에 선보이고 있다. <Written in Stone>에서 그는 자신이 의도하는 문장을 챗GPT에게 이모지를 변환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것은 고대의 비석의 상형문자와같이 육중한 덩어리에 새겨져 있고, 누구나 그것을 보면 한눈에 어떤 이모지인지 바로 파악은 된다. 하지만 그것을 하나의 문장으로 읽으려 하면, 전혀 해석이 안 되거나 작가의 의도와는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 이는 다만 원작자인 작가가 전시장에 비치해 놓은 글에서 읽을 수 있지만 인공지능이 왜 이러한 이모지를 선택했는지는 알 수 없다. 물론 우리는 작가의 글과 이모지를 대조하며 의미를 익힐 수도 있겠지만 거의 해석이 불가능하고 다른 문장에 적용하기도 힘들다. 이렇게 그가 설정한 AI가 전달해 주는 번역의 과정은 우리가 이모지를 사용하는 방식과 그리 다르지 않다. 이와 같은 그의 작업을 보면 작가가 관심을 가지게 되는 불안의 원인은 막연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작가는 우리에게 명확하게 대상이 보이지만 그것을 이해하고 소통할 능력의 부재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어느 한쪽을 부정하는 것이 아닌 예술을 다루는 작가로서 무엇인가를 지식적인 도구와 함께 감각적으로 읽어내는 능력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에 대한 자각에 가깝다.

다시 제목인 《콘크리트 프루프》로 돌아와 보자. 이는 구체적인 혹은 명확한 증명이라고 하는 의미와 함께 작가가 사용하는 주재료의 이름이 더해져 다중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그가 사용하는 콘크리트가 가진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에 관해 이야기하기보다는 그가 하나의 재료를 통해 여러 가지 표현의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태도에 주목하고자 한다. 위에서 살펴본 작품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평면과 입체가 주는 서로 다른 감각과 표면의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질감의 차이를 실제로 작업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조형적 실험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이미 주어진 방식을 고스란히 계승하는 하나의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모호하거나 미묘하게 차이가 나는 단어들을 사용해서 반복할 수 없고 순간만 존재하고 기억할 수 없는 것을 남기는 행위와 유사하다. 이렇듯 그의 재료 연구는 이모지와 함께 정보로 가득한 현재가 표현이나 감각의 확장을 가지고 오기보다는 오히려 협소하게 경직되어 가는 것을 작가의 실제적 행위로 증명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는 다양한 감각이 퇴화하여 단순해지는 것에 대한 불안을 작가 스스로 인식하는 동시에 우리에게 던지는 경고이기도 하다. 소리 내어 책을 읽고, 손으로 글을 쓰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시대, 언어와 문자를 오직 눈으로만 인식하고 그것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매개체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다르게 보고 인식할 수 있을까? 그리고 정말로 어떤 새로운 감각적 확장은 또 다른 유토피아와 같은 허무한 망상일 뿐인 것은 아닐까? 그렇기에 여전히 손을 통해 물성을 느끼고 현실에 존재하는 조형 작업을 하는 작가에게 이러한 상황은 괴리감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그는 방향감각이 없는 추상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콘크리트라는 명확하면서도 견고한 재료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무엇인가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확장하는 과정 그 자체를 직접 경험해 나가면서 자신의 의식과 감각을 단련해 나가고 있다. 

정리해 보자면 이진영은 작업을 통해 자신이 하나의 개인으로 느끼는 사적인 성향과 관점을 통한 주관적인 시선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의 흐름과 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복합적인 성향을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그는 우리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감각의 부재 시대에 접어든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계속해서 새로운 것들로 진화해 나가면서 동시에 인간을 오히려 자유롭지 못하고 경직되게 속박하는 이 시대를 어떻게 유연하게 움직이며 살아갈지 모색하고 있다. 그것은 현재의 것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 안에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자신의 직접적인 감각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태도이다. 거기에 더해 그는 작업의 재료와 표현의 연구 과정과 그 결과물을 통해 우리의 감각과 소통의 능력 퇴보에 대해 구체적인 자신의 행위로 그것을 증명하려 한다. 이렇게 그는 작가로서 자기 내면에 존재하는 비물질적인 것들이 외부로 발화하면서 드러나는 것과 드러나지 않는 것을 느끼고 그 감각을 만들어 나가면서 관객들에게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고 있다. 결국 《콘크리트 프루프》의 작품들은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고 이를 다시 작업으로 만들어 내는 행보 하나, 작품 하나가 구체적인 실체와 표면을 가진 자신만의 감각을 펼쳐나가는 장(場)이자 우리의 시대의 상황을 명확하게 증명하는 행위 그 자체임을 우리에게 충실하게 보여준다. 



Why The Artist Creates Concrete Proof

Seung Oh Shin (Director of Perigee Gallery)


Jinyoung Lee practices sculptural forms with concrete to make emojis. As Lee’s work derives from the two key elements, let’s trace her interest and narrative mainly from the works shown in her most recent solo exhibition, 《Concrete Proof》. First, let’s examine emojis, which are pictograms that combine images with text. Lee displays a tendency to either borrow or twist emoji's method of conveying certain emotions and meanings. As seen in <Untitled> or <Doomer>, the heart emojis Lee often uses are on fire, tied to a ribbon, pierced with an arrow, glittering, or broken in half—conveying a spectrum of emotions. Emojis are a set of pictographs that presuppose a certain purpose. The signification of language occurs wh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operate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becomes possible only when we have understood certain meanings through the mechanical action of reading symbols with our eyes and recalling their meaning. Therefore, when elements from different systems, such as different languages and characters, are used interchangeably, it becomes difficult for us to convey or accept their intended meaning. However, emojis can diverge from these limitations because they are intuitive images that more conveniently connote common meanings and emotions that we share. They are symbols based on our common senses and experiences. But can we truly transmit and receive emotions thoroughly through them? A picture may be more intuitively comprehendible, but it does not reveal everything about the person sending it. Rather, many aspects are refined and hidden behind the picture. Multifacet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re required to decipher them completely. Humankind has developed our complex society with culture and art as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individuals accum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trying to understand each other. However, emojis are symbols that were created and distributed with intentions, and they are a tool that disappears because we consume them easily, lightly, quickly, and repeatedly without any awareness. The artist notes that the more we become accustomed to these convenient, intangible emojis, the more they create barriers and limitations in communicating. This is more explicitly shown in <Doomer>, which refers to our generation that experiences various social and human issues and faces loneliness, spiraling into apathy, pessimism, self-loathing, and depression. They stand like gravestones, with identical emojis but with different surfaces that give them individuality. Through this, Lee manifests the anxiety and futility that arise from the sense that the society we live in is becoming more standardized and rigid. At the same time, it poses a question to the viewers as to whether they will be able to unfold and read it anew from their own perspective while looking at the same yet different object.

Additionally, Lee uses the full meaning of the linguistic surface of the emojis to convey her own thoughts. The work <Gluttony> combines iPhone food emojis to discuss the situation where we are stuck in the role of a passive receiver in a digital world that forces us to consume a feast of visual information. <FOMO> depicts the seemingly accessible and egalitarian contemporary world with the Hundred Points emoji, while exposing the illusion of an ideal world in the digital age where we still have no choice but to think hierarchically. Lee has continued and extended the assertion with the recent works that create new signifiers. In <Written in Stone>, Lee makes ChatGPT convert her sentences into emojis. The outcomes are engraved on a heavy mass like hieroglyphs on an ancient tombstone, and anyone can immediately tell what kind of emojis they are at a glance. However, if you try to read them as sentences, you either cannot interpret them at all or you are bound to create a meaning different from the artist's intention. They can only be read properly in the text that Lee placed in the exhibition space, but it is unknown wh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chosen the emojis. Of course, we can learn their meaning by comparing Lee’s writing with the emojis, but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terpret and difficult to apply to other sentences. The translation process delivered by the AI that was set up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way we use emojis. In this aspect, it seems that the cause of “anxiety” that the artist is concerned with has to do with the rapidly progressing development of technology. Lee shows us that although we can clearly see things, we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m. However, this is not simply a denial of or resistance against a certain climate—it is closer to the awareness that as an artist, the ability to read things sensuously with intellect is gradually disappearing.

Let’s return to the title, 《Concrete Proof》. The “concrete” implies multiple meanings—solid or factual evidence or the sculptural material that the artist employs. Rather than talking about the historical meaning or symbolism of concrete, I would like to focus on Lee’s attitude toward researching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through a single material. As can be seen from the works mentioned above, Lee conducts various formative experiments to apply the different sensibilities of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the different textures according to the processed surface to her work. This is similar to the act of using words with ambiguous or subtly different meanings, rather than using a single formula that inherits an already given method, to leave behind things that cannot be repeated or remembered. In this way, Lee’s research on materials becomes a way to prove through her own actions that the present, overflowing with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confined and rigid rather than expanding our expressions or senses. Lee is aware of her own anxiety toward the degeneration and simplification of our senses, but it is also a warning thrown at us. In the age where we are not used to reading books out loud or writing out words by hand and where we communicate through media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how can we see and perceive differently? Is hoping for a new expansion of senses just a futile delusion, like hoping for utopia? Therefore, for an artist who remains practicing with their own hands to feel the materials and create actual objects, such a climate would be enough to make them feel disconnected. To combat the abstract future without a sense of direction, Lee freely uses clear-cut and solid material that is concrete to train her own consciousness and senses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ealm of expression.

To summarize, through her work, Lee shows a complex tendency to objectively understand social trends and phenomena while maintaining subjectivity through her personal tendencies and perspectives. She is questioning if we have entered an age absent of the abilities to express ourselves. Therefore, she continues to evolve into new things, while at the same time seeking out how to navigate and live flexibly in this age where humans are rigidly bound and restricted. It is an attitude that places importance on one's own senses and experiences to grasp the present and move fluidly within it accurately. In addition, Lee attempts to prove through her sculptural materials and their experiments to prove through her own actions about the deterioration of our abilities to sense and communicate. In this way, as an artist, she continues to raise questions by feeling and creating the things that are revealed and not revealed as the immaterial things that exist inside her are expressed outwards. In the end, the works of 《Concrete Proof》 are a clear demonstration of a field where the artist unfolds her own senses to create art with specific presence and physical substance and of action that precisely identifies current times.  

Using Form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