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하트

권혁규 (뮤지엄헤드 디렉터)


어떤 대상의 인지는 그것의 물질적 토대와 함께 형식적, 내용적 측면을 아우르는 ‘현실성’의 탐구가 포함된다. 여기서 ‘보는 행위’는 단순한 시각 정보의 수집을 넘어 맥락과 내용, 심지어는 내부의 무언가를 밝혀내려는 시도와 맞닿는다. 동시에 그 대상이 일종의 통일된 피조물이라는 것을, 질료와 형식, 개념이 서로의 통로로 존재함을 전제한다. 누군가는 기독교적 서사로부터 또 누군가는 그리스 철학에서 그 역사적 줄기를 찾을지 모를 물질과 한 몸인 존재(의 개시)는 중세를 지나 근대로 오며 칸트식 선험 철학의 바탕이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익숙한 사고로 남아있다.

하지만 그 익숙함은 오랜 미술의 역사에서 습격의 대상이기도 했다. 고흐의 구두나 마그리트의 파이프, 뒤샹의 변기에 대해 길게 서술하지 않더라도 친숙한 사물의 인지를, 그것과 언어의 관계를 파괴하며 또 다른 개념의 물질과 기호를 등장시키는 미술을 호명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이에 더해, 동시대 온라인을 비롯한 가상공간 속 수많은 (비물질의) 물질들과 (비의미의) 기호들은 말 그대로 사물 내외부의 개념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앞서 설명한 통일된 피조물, 그러니까 물질과 개념이 비교적 선명하게 연결되는 대상/미술의 개념은 오늘 점점 희미해진다. 어떤 대상의 물질과 내용을 나누는 일, 혹은 그것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보는 일은 점점 무의미해지고, 실용성을 근거로 각기 다른 현실성과 현존성을 파악하고 사물과 예술작품을 구분하는 것 역시 무모한 일이 되고 있다. 하나의 대상에는 다중의 내외부가, 수많은 통로들이, 모호한 상황들이 함께한다. 앞서 언급한 대상의 물질과 개념, 또 사물과 예술의 분류는 여전히 가능한 사고일지 모르나 그 분명함은 이제 광활한 중간지대, 안갯속에 놓인다.

이진영은 흔히 말하는 ‘이모지’를 질량과 부피, 무게를 갖는 조각으로 만든다. 회색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반짝반짝 빛나는, 깨진, 혹은 불타는 하트 이모지들이 이진영 작업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장면들이다. 이모지는 오늘의 (물질 없는) 사물이자 (납작한) 기호이며, (즉각적인) 문화이다. 국내에서는 흔히 이모티콘으로 통용되는 ‘이모지’는 "그림"을 뜻하는 일본어 "에(絵)"와 "문자"를 뜻하는 "모지(文字)"의 합성어로 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모바일 통신의 대중화에 발맞춰 12x12픽셀의 단순한 이미지/문자로 처음 고안되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감정, 사물, 날씨 등을 간결한 시각 기호로 나타낸 이모지는 2010년 이후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며 말 그대로 경계 없는 기호로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 메시징 앱 및 기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럼 이진영은 왜 ‘이모지’를 조각으로 만드는 것일까? 빠르고 간편한, 국경과 언어, 물질을 초월한 기호를 다시 번거로운 물질과 신체로, 장소와 시간으로 돌려세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먼저, 조각을 통해 (물질 없는) 사물이자 (납작한) 기호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는, 다시 말해 순간의 코드를, 또 그것의 가벼운 현존성을 문제시하며 보다 확실한 물질과 개념의 예술작품을 만드는 시도를 떠올릴지 모른다. 이러한 해석을 오류라 말하긴 어렵지만 더 중요한 건 작업이 가로지르는 사물과 조각, 납작함과 부피, 순간과 영원성 사이에는 앞서 얘기한 광활한 중간지대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작가의 작업에서 볼 수 있는 전환과 이동, 상태변화는 희미한 지대를, 다중의 내외부와 상황들을 횡단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하나의 ‘이모지’는 눈에 보이는 납작함과 신속함 너머 복잡한 위상과 기능, 정서를 갖는다. sns상의 하트가 관심과 사랑뿐 아니라 집착과 상실에 닿아있듯 이진영 작업의 대상이자 출발이 되는 이모지는 복잡한 소통 방식과, 미디어 문화, 개인과 집단에 연결되어 있다. 다양한 성별과 인종, 정체성의 표현을 촉구하는 운동 등 이모지 주변에는 밈이나 GIF 형식의 유머와 풍자 또는 아이러니부터 사회 정치적 논쟁이 함께한다. 이진영이 극강의 효율성을 자랑하는 이모지를 굳이 3차원의 조각으로 만드는 이유는 이것과 저것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지지하려는 의도보다 그 사이의 다양한 상태를 직접 마주하고 매만져보려는 시도로, 또 그것을 물질화하는 행위로 이해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이모지와 대응하며 조각의 위상을 무조건적으로 강요하기보다 미묘한 교차와 어긋남을 드러내며 오늘 물질을, 혹은 여전히 만드는 일로서의 조각을, 개인과 집단을 포함한 여러 층위를 탐구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앞서 말한 교차와 어긋남은 이진영 조각의 대상뿐 아니라 재료와 물성, 그리고 방법의 이중적, 모순적 적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가장 먼저 작가는 하트와 산 혹은 우끼요에의 파도처럼 모종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기호들을 주 대상으로 삼는다. 일례로 작업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하트는 sns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신속함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동시에 길게는 고대로부터, 현대의 맥락에서는 13세기와 14세기의 종교적 맥락으로부터 그 유래를 찾는, 말 그대로 여러 문화와 역사를 거쳐 오늘에 당도한 기호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심볼이지만, 행사장에서 기계적으로 내보이는 손, 볼 하트처럼 광범위한 사용의 비기능을, 그것의 피상성과 무효함을 떠올리게도 한다. 작업의 주재료가 되는 콘크리트도 마찬가지다. 콘크리트는 명확성과 질서를 강조하는 합리적인 현대 도시 구축에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으로 황폐화된 많은 유럽 도시의 재건에 큰 역할을 했다. 당시 건축가들은 혁신적인 도시 계획과 모더니즘 건축을 통해 이상적인 미래를 건설하고자 했으며, 주로 대규모 주거 단지, 정부 건물, 문화 센터 및 교육 기관 건설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이 같은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시간이 지나며 여러 사회 문제의 거처로 밝혀지고, 회의적인 입장과 비판을 맞닥뜨리게 된다. 작가의 작업에는 콘크리트의 이러한 이중성과 모순이 스쳐간다. (한때) 새롭고 단단한 재료로 만든 조각에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편리함과 고립이, 밝음과 어두움이, 새로운 것과 지나간 것이 공존한다.  

그리고 이 이중성은 ‘캐스팅’의 방법과 함께 다시 한번 퍼져나간다. 작가는 원형을 복제하는 ‘캐스팅’을 주 방법으로 삼으며 이모지를 조각으로 전환한다. 작업 속 이동과 전환의 과정에 아이러니하게도 복제의 방법론이 함께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캐스팅은 단순 복제가 아니라 몸과 손을 부단히 움직이며 작업에 물질과 시간을 포함시키는 과정에 더 가깝다. 얼핏 양분된, 서로 다른 두 세계 사이의 무수한 차이와 유사성을 개인의 신체, 경험과 결부시키며 드러내는 것이다. 이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본다면, 흔히 말하는 스티로폼이 조각의 원형으로 기능하는 점을 언급할 수 있다. 콘크리트 조각의 표면 곳곳에서 스티로폼 특유의 텍스처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양분된 세계 사이의 어떤 지점을 가늠하는 시도를 재확인시키다. 무거움과 가벼움, 가짜와 진짜 사이의 기이한 존재로서 조각이 나타나는 것이다. 또 이 과정에는 비슷한 색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작가는 캐스팅 과정에 민트색 안료를 추가하기도, 또 민트색 좌대를 만들어 조각을 받치기도 한다. 민트색이 오늘 상업 사회에서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차분하면서도 경쾌하고, 자연을 연상시키지만 지극히 인공적인, 성 중립적이면서 여러 장식에 무난하게 적용 가능한, 인스타그램이나 핀터레스트에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중적이고 자기배반적인 색이라는 점을 떠올려 본다. 이처럼 캐스팅의 방법과 재료, 그리고 그에 더해지는 색과 좌대의 사용은 상반된 것을 함께 끌어안는 작업에 강하게 연루된다.  

다시,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하트 이모지가 있다. 납작하고 반짝반짝 빛나는 형상이지만 결코, 절대 빛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딱히 침울하다 할 수 없는 콘크리트 하트는 오늘 물질과 기호의 위상, 기능을 상기시킨다. 그럼 이진영의 작업을 지탱한다 할 수 있는 이 물질과 기호의 진짜 정체는 무엇일까. 그것은 한쪽으로만 내달리는 근시안적 입장을 넘어 여러 욕망과 상실, 분노가 교차하는 세계를 마주하려는 움직임이 아닐까. 여기서 독자적인 존재로 변모한 것은 이모지라는 특정 대상/기호가 아니라 그를 둘러싼 세계들일지 모른다. 이진영은 자신의 조각을 평면과 입체, 가상과 실제, 자연과 인공, 복제와 창작 등의 이분법적 개념이 충돌하고 또 공존하는 세계의 모델/물질로서 제시하고 있는 건 아닐까. 그 안에는 몰입과 벗어남의 충동이 동시에 자리할 것이다. 매우 사적이고 내밀한, 종결되지 않는 사고와 대화, 혹은 주저함의 조각적 구축으로 콘크리트 하트를 바라본다. 이모지가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부터 벗어나 즉각적인 ‘현실성’을 소거하는 장면은 작업에 수반된 다양한 (비)작동, 경계, 미디어, 매체에 관한 탐구를 가늠하게 한다. 오늘 광활하게 펼쳐진 세계에서 스스로를 또 매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필수적인 행위를, 또 미술과 사물, 평면과 입체, 나와 타자 등에 관한 사고를 다른 차원으로 이어가는 시작을 떠올려 본다.



Concrete Heart

Hyuk Gue KWON (Director of Museumhead)


The perception of an object involves an exploration of “reality” which encompasses both the formal and contextual aspects, along with its physical properties. Here, the “act of seeing” stretches beyond a mere collection of visual information and reaches an attempt to uncover the context, content, and even the internal aspects. At the same time, it presupposes that the object is a unified piece of creation and that the material, form, and concept exist as each other’s gateways. The (initiation of) an existence at one with material, which some may find its historical origins in Christian narratives or Greek philosophy passed through the Middle Age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in modern times, remaining a familiar idea to this day.

However, the familiarity has long been a subject of scrutiny in the history of art. We do not need to dig into an elaboration of Van Gogh’s shoes, Magritte’s pipe, or Duchamp’s urinal to address art that dismantles its relationship with language to introduce a different concept of materials and symbols. Plus, the countless number of (nonmaterial) materials and (nonmeaningful) symbols in the virtual world render the notion of the object’s interior and exterior meaningless. The unified piece of creation as mentioned earlier, or the notion of object/art that clearly connects to its material and concept, is fading away in this day and age. Distinguishing the object’s material from content or perceiving them as a single unified system is becoming more meaningless, and identifying the varying degrees of reality and presentness based on practicality and distinguishing between objects and artworks are becoming imprudent. An object encompasses multiple interiors and exteriors, various passageways, and ambiguous situations. As mentioned earlier, distinguishing an object’s material from concept and object from art may still be conceivable, but the clearness is now placed in a vast, foggy middle ground.

Jinyoung Lee transforms the widely-known “emojis” into sculptures that obtain mass, volume, and weight. Sparkling, broken, or burning heart emojis made of gray concrete are what come to mind when thinking about Lee's work. Emojis are today’s (nonmaterial) objects, (flat) symbols, and (immediate) culture. “Emoji”, commonly called “emoticon” in Korea, is a compound word of the Japanese word “e(絵)", ​​meaning “picture”, and “moji(文字)”, meaning “character”. It was first designed in the late 1990s as a simple image/text of 12x12 pixels, in accordance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in Japan.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mobile communication, emojis, which represent emotions, objects, or weather as concise visual symbols, have been included in the Unicode Standard since 2010. As universal symbols, they are being widely used on social media platforms, messaging apps, and other digital communication channels.

So why is Jinyoung Lee turning emojis into sculptures? Why turn a quick and easy sign that transcends borders, language, and material down a path of cumbersome materials, bodies, places, and time? First of all, we might think of an attempt to create works of art with more certain materials and concepts by bringing its light presence or its flickering code into question, with sculpture that responds critically to (nonmaterial) objects and (flat) symbols. It is difficult to say this interpretation is wrong, but the mor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vast middle ground, as mentioned earlier, exists between the territories of objects and sculptures, flatness and volume, and moment and eternity for the work to traverse.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s, migrations, and status changes seen in the artist's work are traversing gray areas and various interiors, exteriors, and situations. In fact, an “emoji” obtains complex status, functions, and emotions beyond its visible flatness and quickness. Just as the hearts on social media touch on not only attention and love but also obsession and loss, the emojis that serve as both the subjects and the starting point of Lee’s work relate to the complicated way of communication, media culture, and the individuals and groups. Like movements calling for inclusive representations of various gender, race, and identity, emojis are always tethered to humor, satire, and irony in the form of memes, GIFs, or even social-political debates. Jinyoung Lee’s insistent practice of materializing super-efficient emojis into three-dimensional sculpture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face and confront various states rather than to pick and stand for a certain side. Rather than enforcing the status of sculpture in response to emojis, her work manifests the subtle intersections and dislocations to examine materials, sculpture as practice, and the various layers including individuals and groups.

The intersections and dislocations mentioned above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subjects of Lee’s work but also in the contradictory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and materiality. First of all, the artist mainly pays attention to symbols that represent a sort of history and contemporaneity simultaneously—like hearts, mountains, or Ukiyo-e waves. For example, the heart emoji that appears most frequently in her work symbolizes the quickness of social media and digital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the symbol is one that has reached the present through various cultures and histories, where its origins can be traced as far back as the ancient times, or from the 13th and 14th centuries in a religious context. Although the symbol is most widely used, we are reminded of the dysfunctionality of its widespread use such as the trend of finger or cheek heart gestures, and their superficiality and invalidity. The same goes for concrete, the main sculptural material. Concrete has been widely used in building rational modern city architectures that emphasize clarity and order. In particular, the material also served a major role in reconstructing European cities that were demolished after World War II. Architects at the time sought to build an ideal future through innovative urban planning and modernist architecture, focusing on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es, government buildings, cultural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such concrete utopia turned out to take part in social issues, facing skeptical criticism. Lee’s work exudes a sense of such duality and contradiction of concrete. In the sculpture made (once) with new, solid material coexists utopia and dystopia, convenience and isolation, light and darkness, and the new and the old. 

And this duality once again spreads with the method of “casting”. The artist turns emojis into sculptures by “casting”, making replications of the original form. The methodology of replication accompanies, ironically, the process of movement and transformation in the work. However, the casting process here is not mere reproduction; it is closer to a process of including material and time into the work by relentlessly practicing with one’s own body and hands. The numerou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eemingly disparate worlds are manifested by connecting them to the individual’s body and experience. Upon studying the process in more detail, we can discuss the fact that styrofoam is used as the preliminary model of the sculptures. The texture unique to styrofoam can be spott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culptures, reaffirming the attempt to assess a certain point between the two separate worlds. Sculpture appears as a bizarre existence between heavy and light and real and fake. Moreover, a certain set of colors appear repeatedly. The artist adds mint-colored pigment in the casting process or uses a mint-colored pedestal for the sculptures. The color is a twofold, self-betraying one that dominates Instagram and Pinterest; the color is calm but lifting, nature-like but extremely artificial, gender-neutral, and safely applicable to many decorations, widely popularized in our commercial society. Thus, the method and materials of casting as well as the use of color and pedestal are strongly involved in the work where opposites are embraced together. 

Again, here lies heart emojis made of concrete. They are flat and in sparkling shapes, but they never, ever actually sparkle. However, the concrete hearts, which are not particularly gloomy, remind us of the status and function of today's materials and symbols. Then what is the true identity of the materials and symbols that can be said to support Lee’s work? It might be the actions that face the world of complex desires, loss, and anger by going beyond myopic approaches that head toward a single direction. The things that transformed into independent entities here may not be the subjects/symbols called emojis, but the world surrounding them. Perhaps Lee is presenting her sculptures as models/materials of the world where dichotomous concepts such as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virtual and real, natural and artificial, and reproduction and creation collide and coexist. The urge to immerse and escape will simultaneously exist within it. I look at the concrete hearts as a sculptural construction of the personal and intimate, unfinished thoughts and conversations, or hesitation. The scene of the emojis breaking away from being a mere form of communication and eliminating its immediate “reality” allows for an exploration of various (in)operations, boundaries, and media involved in the work. In today’s vastly wide world, I think of the crucial acts of confirming one’s own or a medium’s existence and the start of continuing the thoughts on art and objects,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or the self and the other into a new dimension.

Using Form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