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프루프 

이진영 개인전

2023년 9월 15일 - 10월 15일

성곡미술관

기획 ㅣ 성곡미술관

비평 ㅣ 권혁규

번역 ㅣ 제니퍼초이

사진 ㅣ 정효섭

후원 ㅣ (재)성곡미술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


Concrete Proof

Jinyoung Lee Solo Exhibition

15 September - 15 October 2023 

Sungkok Art Museum

Curated by Sungkok Art Museum

Criticism by Hyukgue Kwon

Translation by JenniferChoi

Photographed by Hyosup Jung

Sponsored by Sungkok Arts & Cultural Foundation, Arts Council Korea (ARKO)

1 / 10
2 / 10
3 / 10
4 / 10
5 / 10
6 / 10
7 / 10
8 / 10
9 / 10
10 / 10

이진영은 이분법적 사고와 이를 통해 위계질서를 부여받는 사물들을 탐구하며,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그는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언어인 이모지(emoji)의 형상을 콘크리트, 시멘트와 같은산업 재료로 굳혀내 물리적 형상을 부여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콘크리트 프루프’는 작품의 주된 재료로 사용된 콘크리트를 의미하는 동시에 구체적인 입증이라는 뜻으로, 가상 세계를 부유하는 이모지를 감각할 수 있는 대상으로 실체화해 존재를 입증하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진영에게 이모지는 비물질과 가상의 것을, 시멘트는 실재하는 물질과 현실을 상징한다. 근대 건축과 산업사회를 상징하던 콘크리트는 실존을 대변하는재료가 되고,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중추 역할을 해왔던 이모지는 가상의 것, 허구의 이미지를 부여받는 것이다. 이모지가 단일 문화권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던 이유는 형상을 기반으로 한 그림 문자를 근원에 두어 문자의 추상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현대의 디지털 공용어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진영의작품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하트 도상은 이모지를 대표하는 상징이자 소셜미디어를 대변하는 기호이다. SNS ‘좋아요’ 기능을 가리키는 하트의 개수는 ‘관계’를 집계가능한 숫자로 환원하고, 그것은 곧 돈으로 환산되어 살 수 없었던 것들의 가치를변형시킨다. 작가는 이렇게 시간에 따라 변질되고, 사라지고, 실존하지 않는 대상에 불안과 공허를 느끼고,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는 조각에 천착한다.

그렇다면 이진영이 생각하는 가치체계 즉, 가치를 이루는 가치는 무엇인가? 그의 작업은 이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본질’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진영이 선택하는 대상은 현실 공간을 점유하는 조각이 되고, 그의 조각은 예술작품의 권위를 부여받음으로써 존재할 가치가 있는 대상이 되어 새로운 가치 질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매끄럽고 가벼운 이모지는 얼핏 무겁고 차가운 콘크리트와 어긋난 조각처럼 보이지만,고작 몇십 개의 픽셀로 구성된 이모지가 건축의 속성을 띤 콘크리트로 확대되어 앞에 놓일 때, 우리는 그것을 이모지가 아닌 예술적 사물로 인식하게 된다. 그의 조각들은 매끄러운 이모지의 표면을 깨부순 듯 투박하고 거칠다. 울퉁불퉁한 콘크리트 조각은 모든 것이 미끄러져 내리는 매끈한 디지털의 유물과는 다르게 살아 숨 쉬는, 온기가 흐르는 조각으로 변모한다. 

― 성곡미술관


Jinyoung Lee explores the d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he objects that are assigned the hierarchical order through it, and her work starts with questions about what makes the value. She has been materializing the images of the digital language “emoji,” using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cement. The exhibition title "Concrete Proof," suggests concrete, the main material of her work,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evidence that is particular and specific. It also implies a process of substantiating the existence of floating emojis in the virtual world as objects that can be sensed. 

For Jinyoung Lee, emojis represent the intangible and the virtual, and cement represents physical materials and the real world. Concrete, which symbolizes modern architecture and industrial society, becomes a material that represents existence. Emojis serve a central role in global communication and are given the image of the virtual and the superficial. They were able to become the modern universal language across cultures as they are based on pictographs which complement the abstraction of letters. The heart symbol, which appears frequently in Lee’s work,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mojis and a symbol of social media. The number of hearts signifying the “like” button on social media reduces relationships to quantifiable numbers, and that results in a corruptive commodification of values. Feeling a sense of anxiety and emptiness toward the things that deviate, vanish, and lose physical presence, the artist delves deep into sculpture that occupies physical space.

Then what is the value system, or the values that constitute values, for Jinyoung Lee? Her practice is an unfolding of the essential nature that strive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s. Lee’s subjects of interest become sculptures that occupy physical space, and they constitute a new set of values by becoming objects worth existing by being assigned the authority as artworks. Slick, light emojis may seem disparate from the heavy, cold concrete, but when an emoji made up of a few pixels is substantialized and enlarged as a concrete object with architectural properties, we begin to perceive it as an artistic object, not an emoji. Lee’s sculptures are clumsy and rough as if to smash down the slickness of emojis. The rugged concrete sculptures, unlike the digital artifacts where everything slides down the polish, morph into breathing, pulsating sculptures. 

 ― Sungkok Art Museum

Using Format